본문 바로가기

법과 사회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

 

형법을 위배한 사람은 그에 상응하는 법적 처벌을 받아야 마땅하다. 그러나 어떤 범죄들의 경우에는 피해자가 범인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면 처벌을 하지 않기도 한다. 바로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친고죄. 친고죄는 고소권자가 고소를 해야 수사기관이 범죄를 수사하고 처벌하는 범죄를 말한다. 대표적인 친고죄의 사례로는 모욕죄, 업무상비밀누설죄, 비밀침해죄 등이 있다. 이 친고죄는 고소권자가 가해자의 범행을 안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고소를 해야 한다.

 

반의사불벌죄. 반의사불벌죄는 친고죄와 달리 누군가가 고소하지 않아도 객관적인 범죄 혐의가 있다면 수사기관에서 수사하고 처벌할 수 있다. 하지만 피해자가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면 수사기관은 가해자를 강제로 처벌할 수 없다. 대표적인 반의사불벌죄의 사례로는 명예훼손죄, 단순폭행죄, 협박죄, 과실치상죄 등이 있다.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가 갖는 효력은 피해자와 가해자가 개인적인 '합의'를 통해서 처벌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사과하고 손해배상을 한 후 피해자와 합의를 하면 법적으로 개인간의 합의 내용을 존중하여 형사처벌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대로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에 해당되지 않는 절도, 사기 등 대부분의 범죄는 고소나 고발이 없어도 수사기관이 수사를 진행할 수 있고 범죄 사실이 입증되면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즉, 이런 경우에는 피해자와 가해자가 사적으로 합의를 하더라도 처벌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다만, 합의를 했다면 재판의 진행과정에서 가해자의 처벌 정도를 조금 낮춰줄 수는 있다.